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통합검색
전체메뉴
  1. 가족/다문화
  2. 다문화가족 지원제도
  3. 외국인주민 지원
  4. 외국인주민 현황
카카오스토리 공유

총 인구 구성(2021.11.1.기준)

총 인구 구성을 주민등록인구, 총인구, 내국인, 외국인으로 안내하는 표
주민등록인구
(2021.10.31.)
총인구(①+②)
(2021.11. 1)
내국인(①)
(한국국적)
외국인(②)
(외국국적)
2,366,852 명 2,387,911 명 2,336,771 명 51,140 명

* 총인구는 국적상 내국인과 외국인을 합산한 수이며, 조사기준 시점(’21.11.1.) 전후 3개월 이상 국내 미체류자를 제외한 실제 거주 인구로 주민등록인구와 다름

외국인주민 유형별 현황

(단위: 명, %)

외국인주민 유형별 현황을 구분, 합계, 한국국적을 가지지 않은자, 한국국적 취득, 외국인 주민자녀로 안내하는 표
구분 합계 한국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 한국국적
취득자
외국인주민
자녀(출산)
소계 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민자 유학생 외국 국적동포 기타 외국인
2021년 51,140 24,267 26,873 36,956 7,273 5,421 6,968 3,490 13,804 4,902 9,282
구성비 100 (47.5) (52.5) 72.3 14.2 10.6 13.6 6.8 27.0 9.6 18.1
2019년 50,900 24,577 26,323 37,398 8,026 5,474 6,128 3,380 14,390 4,669 8,833
구성비 100 (48.3) (51.7) 73.5 15.8 10.8 12.0 6.6 28.3 9.2 17.3
증감 인원 240 Δ310 550 Δ442 Δ753 Δ53 840 110 Δ586 233 449
비율 0.5 Δ1.3 2.1 Δ1.2 Δ9.4 Δ1.0 13.7 3.3 Δ4.1 5.0 5.1
  • 기타외국인 : 불법체류자, 기업투자자, 특파원 등
  • 외국인주민 자녀(출생) : 외국인 또는 귀화한 자의 자녀로서 국적법 제2조(출생에 의한 국적취득)에 따른 출생과 동시에 한국 국적을 취득한 자

외국인주민 연도별 증감추이

(단위: 명,%)

외국인주민 증감추이을 성별, 연도별로 안내하는 표
성별/연도 '21.11월 '20.11월 '19.11월 '18.11월 '17.11월 '16.11월 '15.11월 '15.1월 '14.1월 '13.1월 '12.1월 '11.1월
합계 51,140 50,900 53,023 47,017 42,506 40,251 38,899 37,610 34,976 32,522 31,231 28,153
24,267 24,577 26,942 24,117 22,137 21,407 20,816 19,247 17,626 16,348 16,000 14,279
26,873 26,323 26,081 22,900 20,369 18,844 18,083 18,363 17,350 16,174 15,231 13,874
증감 인원 240 Δ2,123 6,006 4,511 2,255 1,352 1,289 2,634 2,454 1,291 3,078 2,151
비율 0.5 Δ4.0 12.8 10.6 5.6 3.5 3.3 7.5 7.5 4.1 10.9 8.3

※ 대구시 총 인구 2,387,911명의 2.1%이며, 전체 외국인주민 2,134,569명의 2.4%임

시 • 도별 현황

(단위: 명, %)

시도별 현황을 구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세종,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원,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로 안내하는 표
구분 전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021 2,134,569 426,743 72,361 51,140 134,714 41,181 33,078 34,800 9,335 714,497 37,230 73,529 124,492 60,684 66,871 98,197 123,074 32,643
비율 4.1 4.5 2.2 2.1 4.6 2.8 2.2 3.1 2.5 5.2 2.4 4.5 5.7 3.4 3.8 3.7 3.7 4.8
구성비 100 20.0 3.4 2.4 6.3 1.9 1.5 1.6 0.4 33.5 1.7 3.4 5.8 2.8 3.1 4.6 5.8 1.5
2020 2,156,417 444,443 73,185 50,900 131,396 40,715 32,302 35,996 9,382 717,900 36,659 73,064 123,430 61,316 66,936 98,566 126,445 33,782
비율 4.2 4.6 2.2 2.1 4.5 2.8 2.2 3.2 2.7 5.3 2.4 4.5 5.7 3.4 3.7 3.7 3.8 5.0
구성비 100 20.6 3.4 2.4 6.1 1.9 1.5 1.7 0.4 33.3 1.7 3.4 5.7 2.8 3.1 4.6 5.9 1.6
증감 인원 Δ21,848 Δ17,700 Δ824 240 3,318 466 776 Δ1,196 Δ47 Δ3,403 571 465 1,062 Δ632 Δ65 Δ369 Δ3,371 Δ1,139
비율 Δ1.0 Δ4.0 Δ1.1 0.5 2.5 1.1 2.4 Δ3.3 Δ0.5 Δ0.5 1.6 0.6 0.9 Δ1.0 Δ0.1 Δ0.4 Δ2.7 Δ3.4

※ 비율 : 총인구대비 외국인주민이 차지하는 비율
구성비: 전체 외국인주민 중 자치단체별로 차지하는 비율

구 • 군별 현황

(단위: 명, %)

구군별 현황을 구분, 합계, 중구, 동구, 서구, 남구, 북구, 수성구, 달서구, 달성군으로 안내하는 표
구분 합계 중구 동구 서구 남구 북구 수성구 달서구 달성군
2021 51,140 1,038 4,102 4,574 2,716 8,846 3,287 16,352 10,225
2020 50,900 1,087 4,090 4,648 2,533 8,757 3,264 16,259 10,262
증감 인원 240 Δ49 12 Δ74 183 89 23 93 Δ37
비율 0.5 Δ4.5 0.3 Δ1.6 7.2 1.0 0.7 0.6 Δ0.4

국적별 현황

한국국적 미취득자

(단위: 명, %)

한국국적 미취득자 현황을 구분, 동북아, 동남아, 남부아시아, 중앙아시아, 미국, 러시아, 기타로 안내하는 표
구분 동북아 동남아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미국 러시아 기타
중국 중국(한국계) 대만 일본 몽골 베트남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미얀마 말레이시아 기타
2021 36,956 4,623 3,235 480 600 566 9,065 1,531 4,978 1,086 877 431 63 60 2,781 2,361 1,401 542 2,276
2020 37,398 4,687 3,402 466 477 551 9,002 1,559 5,167 1,207 845 419 67 50 2,970 2,410 1,458 624 2,037
증감 인원 Δ442 Δ64 Δ167 14 123 15 63 Δ28 Δ189 Δ121 32 12 Δ4 10 Δ189 Δ49 Δ57 Δ82 239
비율 Δ1.2 Δ1.4 Δ4.9 Δ3 25.8 2.7 0.7 Δ1.8 Δ3.7 Δ10 3.8 2.9 Δ6 20 Δ6.4 Δ2.0 Δ3.9 Δ13.1 11.7
※ 서남아시아 :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네팔 등
중앙아시아 :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탄 등
러 시 아 : 러시아(한국계) 포함
기 타 : 동북아, 동남아, 서남아, 중앙아, 미국, 러시아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
※ 개인정보 누출 위험방지를 위해 인구수 5명 미만의 항목은 블라인드(*) 처리

한국국적 취득자

(단위: 명, %)

한국국적 취득자현황을 구분, 동북아, 동남아, 남부아시아, 중앙아시아, 미국, 러시아, 기타로 안내하는 표
구분 동북아 동남아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미국 러시아 기타
중국 중국(한국계) 대만 일본 몽골 베트남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미얀마 말레이시아 기타
2021 4,902 788 1,056 183 10 23 2,122 244 31 11 260 *** *** *** 68 35 12 17 38
2020 4,669 769 1,040 166 11 21 1,970 240 28 11 246 *** *** *** 70 30 13 16 23
증감 인원 233 19 16 17 Δ1 2 152 4 3 0 14 *** *** *** Δ2 5 Δ1 1 15
비율 5.0 2.5 1.5 10.2 Δ9.1 9.5 7.7 1.7 10.7 0 5.7 *** *** *** Δ2.9 16.7 Δ7.7 6.3 65.2

결혼이민자(한국국적 미취득자)

(단위: 명, %)

결혼이민자(한국국적 미취득자)를 구분, 동북아, 동남아, 남부아시아, 중앙아시아, 미국, 러시아, 기타로 안내하는 표
구분 동북아 동남아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미국 러시아 기타
중국 중국(한국계) 대만 일본 몽골 베트남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미얀마 말레이시아 기타
2021 5,421 998 292 78 328 29 1,889 485 208 35 248 5 9 *** 143 128 201 55 266
2020 5,474 1,013 347 75 305 28 1,983 471 181 31 233 *** 9 *** 149 114 207 54 247
증감 인원 Δ53 Δ15 Δ55 3 23 1 Δ94 14 27 4 15 *** 0 *** Δ6 14 Δ6 1 19
비율 Δ1.0 Δ1.5 Δ15.9 4.0 7.5 3.6 Δ4.7 3.0 14.9 12.9 6.4 *** 0 *** Δ4 12.3 Δ2.9 1.9 7.7

외국인 근로자

(단위: 명, %)

외국인 근로자를 구분, 동북아, 동남아, 남부아시아, 중앙아시아, 미국, 러시아, 기타로 안내하는 표
구분 동북아 동남아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미국 러시아 기타
중국 중국(한국계) 대만 일본 몽골 베트남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미얀마 말레이시아 기타
2021 7,273 192 477 * 18 54 1,026 756 190 948 486 347 *** *** 1,423 486 451 13 387
2020 8,026 224 640 * 19 55 1,111 803 214 1,086 486 376 *** *** 1,560 641 411 14 363
증감 인원 Δ753 Δ32 Δ163 *** Δ1 Δ1 Δ85 Δ47 Δ24 Δ138 0 Δ29 *** *** Δ137 Δ155 40 Δ1 24
비율 Δ9.4 Δ14.3 Δ25.5 *** Δ5.3 Δ1.8 Δ7.7 Δ5.9 Δ11.2 Δ12.7 0 Δ7.7 *** *** Δ8.8 Δ24.2 9.7 Δ7.1 6.6

외국인 유학생

(단위: 명, %)

외국인 유학생을 구분, 동북아, 동남아, 남부아시아, 중앙아시아, 미국, 러시아, 기타로 안내하는 표
구분 동북아 동남아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미국 러시아 기타
중국 중국(한국계) 대만 일본 몽골 베트남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미얀마 말레이시아 기타
2021 6,968 1,511 10 22 150 197 3,782 27 6 38 15 59 12 *** 273 369 19 49 419
2020 6,128 1,189 17 15 70 178 3,567 9 10 29 7 34 6 *** 267 382 6 28 303
증감 인원 840 322 Δ7 7 80 19 215 18 Δ4 9 8 25 6 *** 6 Δ13 13 21 116
비율 13.7 27.1 Δ41.2 46.7 114.3 10.7 6.0 200 Δ40 31 114.3 73.5 100 *** 2.2 Δ3.4 216.7 75 38.3

외국인주민 자녀 현황

유형별

(단위: 명)

외국인주민 자녀 현황을 유형별로 구분, 합계, 귀화 및 외국인 주민자녀, 국내출생 자녀 현황 안내하는 표
구분 합계 귀화 및 외국인주민자녀 국내출생 자녀
9,624 4,849 4,775 342 147 195 9,282 4,702 4,580
중 구 214 106 108 10 5 5 204 101 103
동 구 1,302 696 606 49 24 25 1,253 672 581
서 구 1,045 509 536 37 16 21 1,008 493 515
남 구 551 273 278 14 8 6 537 265 272
북 구 1,785 880 905 59 24 35 1,726 856 870
수성구 819 407 412 24 11 13 795 396 399
달서구 2,225 1,146 1,079 85 34 51 2,140 1,112 1,028
달성군 1,683 832 851 64 25 39 1,619 807 812

연령·성별 현황

(단위: 명, %)

연령·성별 현황을 구분, 합계, 만0~18세까 안내하는 표
구분 만0세 만1세 만2세 만3세 만4세 만5세 만6세 만7세 만8세 만9세 만10세 만11세 만12세 만13세 만14세 만15세 만16세 만17세 만18세
9,624 501 602 599 520 575 536 587 585 600 579 615 614 572 617 478 349 270 233 192
4,849 260 312 318 274 296 272 308 288 288 292 304 305 288 292 228 167 132 122 103
4,775 241 290 281 246 279 264 279 297 312 287 311 309 284 325 250 182 138 111 89

부모 국적별 현황

(단위: 명, %)

부모국적별 현황을 구분, 동북아, 동남아, 남부아시아, 중앙아시아, 미국, 러시아, 기타로 안내하는 표
동북아 동남아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미국 러시아 기타
중국 중국(한국계) 대만 일본 몽골 베트남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미얀마 말레이시아 기타
9,624 1,623 791 140 200 55 4,066 783 164 30 609 *** 9 *** 128 188 281 72 460

현재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만족도
최근수정일 2023.02.01
담당부서
여성가족과
담당자
송정희
전화번호
053-803-6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