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로나현황
통합검색
전체메뉴
  1. 산림 · 녹지
  2. 산림녹화 및 산림휴양공간조성

숲가꾸기 사업

기술적인 산림자원관리를 통해 산림의 공익적 기능과 경제적 가치를 제고하고 산림을 경제 · 환경적으로 가치있는 국가자원으로 육성.

추진방향

  •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지침'에 의거 사업 추진
  • 지역실정에 맞는 도시림 육성

추진계획

  • 밀식되어 있는 도시 내 산림에 숲가꾸기를 통하여 생육환경을 개선하고 건강한 숲으로 조성
  • 조림사업 후 어린나무에 대하여 주변 풀베기, 덩굴제거 사업을 실시하여 숲의 연속적 관리 강화

추진현황

  • 최근 3년간 추진실적 : 2,560ha(‘19 : 850ha, ’20 : 910ha, ‘21 : 800ha)
  • 사업내용 : 큰나무 가꾸기, 어린나무 가꾸기, 조림지 가꾸기(풀베기, 덩굴제거) 등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및 보호수 관리

역사와 전통이 살아 있는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및 보호수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로 귀중한 산림자원을 후세에게 물려주기 위함

추진방향

  •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및 보호수의 기능유지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보호관리
  • 외과수술, 지장물철거 등 생육환경개선사업 등을 통한 수세회복 실시
  • 주민들에게 쉼터 및 정보공유의 장소로 제공

추진현황

  •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및 보호수 정비사업 실시
    •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 5개소 7.3ha
    • 보호수 : 127개소, 268그루

추진계획

  • 지속적인 생육환경개선사업 실시
  • 노목, 거목, 희귀수종, 멸종위기, 특산식물 등에 대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및 보호수 추가 지정

큰나무 조림

산림의 경제적 · 공익적 가치증진을 위한 나무심기로 품격있고 가치있는 산림자원을 조성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반을 구축

추진방향

  • 산림의 공익적 가치증진을 위하여 생활권 주변 큰나무 조림으로 아름다운 경관 조성
  • 도시근교림의 기능과 목적에 맞는 공익조림 추진
  • 산림재해지의 신속한 복구 · 예방으로 산림경관 회복 및 생활환경 개선

추진현황

  • 최근 3년간 추진실적 : 29.9ha(20.6천본)
    [‘19 : 12.3ha(10.3천본), ’20 : 14.8ha(7천본), ‘21 : 2.8ha(3.3천본)]
  • 추진내용 : 큰나무 조림 및 산림재해방지 조림, 산불피해지 복구 등

산림욕장 조성

도시근교의 산림에 친환경적인 휴양시설을 조성하여 시민들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다양한 산림휴양 수요에 적극 대처

추진방향

  • 부족한 여가공간에 대한 산림휴양 수요 충족
  • 산림교육 및 체험공간으로서의 활용성 강화

추진현황

  • 산림욕장 조성현황 : 10개소
    (비슬산, 초례봉, 마천산, 매여, 진밭골, 진인동, 내곡동, 옥연지, 용암산성, 소동골)
  • 조성기간 : 2006 ~ 2021년

추진계획

  • 지역민의 다양한 욕구를 질적, 양적으로 충족할 수 있도록 추가 대상지 검토
  • 기 조성된 삼림욕장의 지속적 관리

제2 수목원 조성

팔공산 산림유전자원 보존 및 수목원 이용객 분산을 위한 제2수목원 조성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정주자의 여가·힐링 등 정주 여건 개선

사업개요

  • 기간 : 2018년 ~ 2024년
  • 위치 : 동구 괴전동 산1번지 일원(45ha)

추진계획

  • 2022년 ~ 2023년 : 실시설계 용역 및 토지‧지장물 보상
  • 2023년 ~ 2024년 : 공사 시행

최정산 힐링숲 조성

최정산에 자연생태를 체험하고 치유할 수 있는 힐링숲을 조성하여 시민에게 생태 체험 및 치유의 기회 제공

사업개요

  • 기간 : 2019년 ~ 2022년
  • 위치 : 달성군 가창면 주리 산132-9번지 일원(30ha)
  • 내용 : 치유의 숲, 자연체험 및 힐링 숲길, 자연생태관찰원, 유아숲체험원, 레저스포츠길, 억새광장 등

추진계획

  • 2022년 : 사업시행

현재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만족도
담당부서
산림녹지과
담당자
김수환, 김정욱
전화번호
053-803-4402, 4403
최근수정일
202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