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보는 대구 여성의 삶
구분 | 현황 | 향후예측 | |
---|---|---|---|
인구·가구 | 성별인구(2016.9월) 행자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인구점차 줄어 2040년에는 지금인구 의 11.6%감소 예측 |
1인가구(2010) 통계청 인구총조사 |
|
여성 1인가구가 남성 1인 가구보다 13% 많음 | |
여성가구주(2015) 통계청, 장례가구추계 |
|
미혼, 유배우, 이혼에 의한 여성가구주 꾸준히 증가 추세 | |
저소득 한부모가족(2016) 대구시 현황통계 |
|
모자가족이 부자가족의 3배 높아 | |
다문화가족(2015) 행정자치부 외국인주민현황 |
|
다문화가구 지속적 증가추세 | |
가정생활 | 혼인연령(2015) 통계청 이혼․혼인통계 |
|
평균 초혼연령과 재혼연령 모두 높아지고 있음 |
혼인 및 이혼(2015) 통계청 혼인·이혼통계 |
|
혼인과 이혼 모두 감소추세 | |
출생(2015) 통계청 출생․사망통계 |
합계출산율 1.22명 | 2014년(1.17)보다 소폭상승 하였으나 저출산 현상 지속 | |
가사노동시간(2014년)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
|
공평한 가사분담비율 전국평균보다 낮음 | |
배우자 만족도(2014) 통계청, 사회조사 |
|
여성의 배우자 만족도는 49.7%로 최하위 수준 | |
교육·복지 | 대학진학률(2015) 교육청, 교육통계서비스 |
|
여성의 대학진학률이 남성보다 9.1% 높음 |
공적연금 가입률(2015) 통계청, 사회조사 |
|
여성의 공적연금 가입률은 50% 미만 | |
기초생활수급자(2014) 보건복지부 기초생활수급자현황 |
|
기초생활수급자중에서 여성이 남성 보다 12,705명 많음 | |
사회생활 | 경제활동참가율(2016.9)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남성 보다 18.6% 낮아, 점진적 격차완화 |
여성 취업의 장애요인 인식 통계청 2015사회조사 |
|
여성취업의 장애요인은 육아부담, 편견차별 순으로 응답 | |
취업자 직업분포(2014)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 |
|
여성취업자는 전문가 및 사무직 비율 이 높음 | |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2015) |
|
대구여성 임시직 비율은 남성에 비해 높고 상용직비율은 낮아 | |
육아휴직자(2014) 통계청 사회통계조사 |
|
대구남성의 육아휴직비율은 4.1%로 전국평균 5.6%에 비해 낮아 | |
임금격차(2015)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 |
|
대구여성 임금은 남성의 58.7%에 불과 실질임금은 7대광역시중 가장 낮아 | |
국회의원 당선자 등 |
|
- 담당부서
- 여성청소년교육국 > 여성가족과
- 담당자
- 조미경
- 전화번호
- 053-803-4022
- 최근수정일
- 2020.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