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로나현황
통합검색
전체메뉴

음식점위생등급제란?

음식점의 위생 상태를 평가하고 우수한 업소에 한해서 등급을 지정(매우우수, 우수, 좋음) 공개함으로써 전체 음식점의 위생수준을 향상시키고 식중독예방은 물론 소비자의 선택권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 2017년 5월 19일부터 시행

왜 시행하게 되었나요?

국민소득 증대, 맞벌이 확산, 식생활 서구화 등으로 외식소비가 증가하였으나 음식점에서의 식중독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 외식소비 :(’12)25.2% → (’13)31.7% → (’14)32.4% → (’15)33%(’15 국민건강영양조사)
※ 음식점 식중독 발생률(건,%) : (’14)213(61%) → (’15)199(60.3%) → (’16)251(62.9%)

또한, 국민들의 의식에 대한 안전체제감도가 가정조리 및 급식에 비해 낮음
※ 안전체감도 (’1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소비행태조사’) : 가정조리(4.2) > 급식(3.4) > 즉석조리코너(2.9) >배달 등(2.8)

장소별 식중도 발생현황 - 식품접객업소 64%, 집단급식소 22%, 가정 2%, 기타 12% 15년 식품의약품안전처, 건수 기준, 외식안전체감도- 가정 4.2, 급식 3.4, 음식점 3.1, 즉석요리 2.9, 배달 2.8 15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장소별 식중도 발생현황 - 식품접객업소 64%, 집단급식소 22%, 가정 2%, 기타 12% 15년 식품의약품안전처, 건수 기준, 외식안전체감도- 가정 4.2, 급식 3.4, 음식점 3.1, 즉석요리 2.9, 배달 2.8 15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손가락을 이용해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음식점위생등급제 등급 표시

음식점 위생등급제 등급표시 이미지 매우우수(excellent), 우수(very good), 좋음(good) 단계로 표시
손가락을 이용해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지자체에서 위생, 맛, 멋 등을 평가하여 모범음식점을 포함 105종의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너무 많은 인증제도로 혼란을 야기하거나 식품위생법 위반사례가 잦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음식점간 자율경쟁을 통한 위생수준 향상 및 식중독발생 사전차단을 위해 음식문화의 새로운 기준으로 음식점 위생등급제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어떤 항목을 평가하나요?

객석, 조리장, 종사자 위생관리, 화장실 등 위생관리사항을 주로 평가합니다.

누가 평가하나요?

평가자의 전문성, 평가결과의 공정성 및 신뢰성 확보 등을 위하여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에 평가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음식점 위생등급’을 지정받은 식당은 식품안전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폐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또한 지정받은 업소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떤 효과가 있나요?

식중독 사전예방 이미지 영업자의 자발적 위생개선, 일반음식점의 낮음 안전체감도, 환경변화로 외식인구증가, 다양한 인증제도로 소비자혼란
손가락을 이용해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 소비자의 음식점 선택권 보장
    • 소비자들이 안전하고 위생적인 음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건강한 식생활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위생수준 향상 및 식중독 예방
    • 위생평가와 관리를 통해 음식점의 위생수준이 향상됨으로써 식중독을 예방하여 예산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미국, 캐나다는 위생등급제 도입 후 10~30% 식중독 예방효과 보고
      ※ 국내의 식중독 발생에 의한 사회·경제적 손실비용은 2조7천억으로 추정되며 10% 감소 시 약2천800억원 예산절감 효과
  • 음식점 홍보효과 및 매출상승 기대
    • 위생등급제 표지판 게시는 홍보 수단으로 활용 가능하여 매출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음식점 인증제도 통합
    • 지자체 별로 다양한 인증제도로 인한 소비자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합·운영 예정입니다.

우리집 주변 위생등급제 지정 업소는? 대구푸드

현재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만족도
담당부서
위생정책과
담당자
최상혁
전화번호
053-803-4123
최근수정일
2022.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