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통합검색
전체메뉴

역세권 개발사업 추진배경

  • 동대구역은 경부고속철도 2단계 전면 확장개통(2014년)에 따라 경제활동 및 생활공간이 광역화 추세
  • 동대구 역세권을 중심으로 한 광역교통 환승체계의 구축과 상업 업무 기능 중심지로서 광역경제권의 거점지역으로 육성 개발
  • 수도권 경제 집중화 방지 및 지역 경쟁력 제고로 지역 균형발전 도모

역세권 개발사업 추진계획

동대구역 고가교 개체 및 확장사업

  • 위 치 : 대구시 동구 신암3동(동대구역 앞 광장 및 고가교량)
  • 규 모 : L=565m, A=71,303㎡
  • 사업비 : 1,524억원(국비)
  • 사업기간 : 2010 ~ 2017. 10.

성동고가교 설치공사

  • 위 치 : 대구시 동구 신암4동(큰고개오거리) ~ 효목2동(수협네거리)
  • 규 모 : B=10~32m, L=647m
  • 사업비 : 697억원(국비, 민자)
  • 사업기간 : 2009. 6. ~ 2017. 3.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주변 기반시설 정비사업

  • 위치 : 대구시 동구 신암동, 신천동, 효목동 일원
  • 규모 : 동부로, 신암남로, 동대구로, 효신로 도로개선 및 환승연계시설 정비
  • 사업비 : 134억원 (국비, 시비)
  • 사업기간 :2015 ~ 2017. 9.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건립사업

  • 위 치 : 동구 신천동 329-3번지 일원(동대구역 남편)
  • 규 모 :
    • 복합환승센터: 면적 36,1881㎡, 연면적 275,252㎡(지하 7층/ 지상 9층)
    • 복합환승센터 박차장: 면적 23,952㎡, 연면적 62,511㎡(지하 1층 / 지상 7층)
  • 용 도 : 주차장 판매 문화시설 등
  • 사 업 비 : 7,590억원(민자)
    • 복합환승센터: 7,040억원(민자)
    • 복합환승센터 박차장: 550억원(민자)
  • 사업기간 : 2010. 11. ~ 2016. 12.

역세권 개발사업 효과

역사 · 복합환승센터 건립, 주거 · 비지니스 · 상업시설 등의 개발 촉진으로 대경권 발전의 구심적 역할 수행

  • 지역건설업체 참여 및 건설고용 창출, 정주여건 개선, 서비스업 확충 등으로 영남권에 인구 유입되어 수익 창출 및 지역 경제 활성화

복합환승체계 등 교통편의가 증진되어 연접지역 산업단지 · 신도시 · 혁신 도시 등 신규 개발 수요 유발로 지역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 마련

  • 동대구역은 모든 육상교통이 집결되는 최적의 환승입지로 복합환승체계 구축되어 역세권 연접지역 개발 촉진

대구 관문인 동대구역 지구에 건립되는 복합환승센터를 새로운 랜드마크로 개발

  • 대구의 이미지 개선 및 지역 브랜드화로 지역인지도 상승 효과

역세권 개발사업 추진현황

동대구역 고가교 개체 및 확장사업

  • 고가교 개체공사 기본계획 용역 : 2010. 7. ~ 2012. 5.
  • 명품광장 조성을 위한 현상공모, 경관심의 완료 : 2011. 11. ~ 2012. 3.
  • 동대구역 고가교 개체 및 확장공사 계약 및 착공 : 2012. 6.

성동고가교 설치공사

  • 성동고가교 설치공사 착공 : 2009. 6.
  • 북편 연결교량 성동 동대구 추가 반영 : 2014. 1.
  • 성동고가교 개통 : 2016. 12.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건립사업

  •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국가시범사업 지정 : 2010. 12.
  • 복합환승센터개발 협약서 체결 대구시 - 신세계) : 2011. 4.
  • 복합환승센터 공사 착공 및 준공 : 2014. 2. ~ 2016. 12.

향후추진 계획

  • 동대구역 고가교 개체 및 확장공사 완료 : 2017. 10.
  • 성동고가교 건설공사 완료 : 2017. 3.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조감도 , 동대구역 고가교 개체 및 확장사업 조감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조감도 , 동대구역 고가교 개체 및 확장사업 조감도

현재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만족도
최근수정일 2022.05.19
담당부서
도시기반총괄과
담당자
최경준
전화번호
053-803-2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