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지원
- 홈
- 분야별정보
- 여성ㆍ가족ㆍ교육
- 출산지원
목적
- 지속가능한 미래사회를 위한 가족문화를 조성고자 지원하는 사업
- 출산율 저하에 따른 사회문제에 적극 대처하여 출산장려 분위기 확산
- 다자녀 및 입양문화를 장려하고 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 경감
지원사업안내
지원사업 | 대상 | 지원내용 | 신청/이용방법 | 비고 |
---|---|---|---|---|
첫만남 이용권 | 2022년 이후 출생아 |
|
행복출산원스톱 서비스 (주소지 동주민센터 방문 또는 정부24 온라인 신청) |
|
출산축하금 지원 | 2022년 이후 둘째아 이상 출생아 |
|
세부지원기준 참조 (주소지 보건소) |
|
출산축하용품지원 | `19.1월 이후모든 출생아 (출생일 기준,소득무관) |
|
행복출산원스톱 서비스(주소지 동주민센터 방문 또는 정부 24 온라인 신청) | 주소지보건소 |
다자녀가정 고등학생 자녀 지원 |
매년 지원계획 공고에 따라 인원, 지원조건 등 결정 |
|
주소지 보건소 | |
아이사랑 통장갖기 | 신청일 현재 대구광역시가 주소인 만0~5세 자녀 |
|
대구은행 영업점 방문 |
법정대리인 신분증과 도장, 자녀기준 기본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3개월 이내) |
대구아이조아카드 발급 |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대구시인 3자녀이상 가구의 부모와 자녀 ※ 부 또는 모의 주민등록지가 대구이며, 도시철도운임 무임적용 기간 내로 카드발급 한정 |
|
대구은행 영업점 ※ 방문 전 반드시 대구은행 고객센터로 발급서류 문의바람 |
|
다자녀가구 자동차 취득세 감면 |
만18세 미만 3자녀이상 가구가 취득하는 자동차 1대 (가족관계등록부 기준) |
|
차량등록 시 차량등록사업소 |
차량등록사업소 053)749-1071 |
전기요금 감액 | `1년 미만 출산가정 |
|
행복출산원스톱 서비스 (주소지 동주민센터 방문 또는 정부24 온라인 신청) |
한국전력공사 (123) |
주민등록표상 3자녀 이상 |
|
|||
다자녀가구 도시가스 요금감면 |
주민등록표상 만18세 미만 자녀 또는 손자녀가 3인 이상인 가구 |
|
행복출산원스톱 서비스 (주소지 동주민센터 방문 또는 정부24 온라인 신청) |
한국가스공사 (1544-0009) |
다자녀가구 지역난방요금 경감 |
주민등록표상 자녀 또는 손자녀가 3인 이상인 가구 |
|
한국지역난방 공사 (1688-2488) |
|
다자녀가구 주택특별공급 |
미성년자인 3자녀이상 무주택세대구성원 (민영/국민주택별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기간 등 상이) |
|
특별공급 신청서, 자격입증 제출서류를 사업주체에 제출 |
LH공사 (1600-1004) |
다자녀가구 국민임대주택 우선공급 |
미성년자인 3자녀이상 무주택세대구성원 (자산/소득요건별도) |
|
현장접수 또는 인터넷접수 (LH청약센터) |
LH공사 (1600-1004) |
다자녀가구 장기전세주택 우선공급 |
미성년자인 3자녀이상 무주택세대구성원 (자산/소득요건별도) |
|
현장접수 또는 인터넷접수 (LH청약센터) |
LH공사 (1600-1004) |
다자녀국가장학금 지원 |
3자녀 이상을 둔 다자녀가구의 대학생 (1988년 이후 출생, 성적기준 충족) |
|
한국장학재단 온라인 신청 http://www.kosaf.go.kr/ |
한국장학재단 (1599-2000) |
국민연금 출산크레딧 |
2008년 이후 둘째이상 자녀가구에 국민연금 가입기간 추가산입 |
|
국민연금공단지사 | 국민연금공단 (1355) |
※ 기존 둘째아이상 출산가정에 분할 지원하였던 출산장려금 (둘째아 5만원×24회 셋째아 이상 20만원×18회) 지원은 종료됩니다
(* ‘21년 출생아는 잔여기간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