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 채소 연중보급


고품질의 청정 채소를 안정적으로 생산 공급하기 · 위해 친환경 유기농산물 생산기술을 보급하고, 재배시설의 현대화 및 자동화시설 보급에 힘쓰고 있으며 생산 채소의 신선도 유지와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별 ·저장, 포장재 개발 및 품질보증 출하를 중점 지도하고 있습니다.
채소 재배현황
(대구, 2021. 12. 31.기준)
구 분 | 계 | 토마토 | 호 박 | 오 이 | 고 추 | 상 추 | 배 추 | 미나리 | 수 박 | 참 외 | 마 늘 | 양 파 | 연 근 |
---|---|---|---|---|---|---|---|---|---|---|---|---|---|
면 적(ha) | 1,497 | 112 | 7 | 14 | 6 | 106 | 75 | 312 | 175 | 198 | 99 | 124 | 202 |
농가수(호) | 44,853 | 6,293 | 368 | 897 | 39 | 2,351 | 3,177 | 2,467 | 9,110 | 7,996 | 1,316 | 6,658 | 4,181 |
2023년 채소분야 시범사업
사업명 | 개소수 | 시범요인 |
---|---|---|
바이오차 활용 시설재배지 온실가스 감축 시범 | 2단체 | 바이오차 적용에 따른 토양개량효과 및 작물생산성 평가 |
연작장해경감 토양환경개선 시범 | 1단체 | 염류집적이 높은 시설채소 작목중심 보급으로 토양화학성 개선 |
채소 스마트 농업 현장확산 시범 | 1개소 | 양액재배시설 도입으로 시비량 절감 및 염류집적장해 해소 |
과수품질 고급화


농업 기상환경과 도시민 소비성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과수작목을 발굴하고 우량 품종 재배면적 확대에 힘쓰고 있으며 과수 , 품질 고급화를 위한 과수 재배기 술을 적극 지원하고 우리 , 지역 주산물인 포도와 특산물인 체리의 생산기술 정착과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과수 재배현황
(대구, 2021. 12. 31.기준)
구분 | 계 | 사과 | 포토 | 복숭아 | 체리 | 감 | 자두 | 살구 | 기타 |
---|---|---|---|---|---|---|---|---|---|
면 적(ha) | 658 | 105 | 168 | 125 | 17 | 72 | 49 | 26 | 96 |
농가수(호) | 6,652 | 2,040 | 2,109 | 877 | 43 | 631 | 421 | 189 | 342 |
2022년 과수분야 시범사업
사업명 | 개소수 | 시범요인 |
---|---|---|
이상기상 대응 과원 피해예방 기술 확산 시범 | 1단체 | 이상기상 대응 결실·품질향상 및 자연재해 대응 |
햇빛차단망 적용 노지과원 일소피해 저감 시범 | 1단체 | 생력화 운영을 위한 ICT기반 자동제어 시스템 적용 |
광환경 개선을 통한 고품질 복숭아 생산 시범 | 1단체 | 광합성 향상에 따른 복숭아 당도 증가 및 조기수확 시범 |
샤인머스켓 장기 저장 시범 | 1단체 | 살균효과가 있는 유황패드의 포도 장기 저장 |
특용작물 생산성 증대


다변하는 소비자의 식생활패턴으로 인한 다양한 농산물 수요에 부합하고자 우리지역 내 적 용 가능한 특용작물의 발굴을 진행 중이며 특용작물의 , 생산성 · 품질 향상을 위한 생산 기술 보급 및 우리지역 특용작물 재배환경 개선에 힘쓰고 있습니다.
2023년 특용작물분야 시범사업
사업명 | 개소수 | 시범요인 |
---|---|---|
고소득 틈새작목 생산 시범 | 1개소 | 산채류 출하시기 조절을 위한 재배시설 설치 지원 |
- 담당부서
- 농업기술센터 > 도시농업과
- 담당자
- 김진선
- 전화번호
- 053-803-7672
- 최근수정일
- 2023.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