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 채소 연중보급
고품질의 청정 채소를 안정적으로 생산 공급하기 · 위해 친환경 유기농산물 생산기술을 보급하고, 재배시설의 현대화 및 자동화시설 보급에 힘쓰고 있으며 생산 채소의 신선도 유지와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별 ·저장, 포장재 개발 및 품질보증 출하를 중점 지도하고 있습니다.
채소 재배현황
채소재배현황- 구분, 토마토, 호박, 오이, 고추, 잎들깨, 상추, 배추, 미나리, 수박, 참외, 마늘, 양파, 연근
구 분 |
계 |
토마토 |
호 박 |
오 이 |
고 추 |
잎들깨 |
상 추 |
배 추 |
미나리 |
수 박 |
참 외 |
마 늘 |
양 파 |
연 근 |
면 적(ha) |
1,441 |
131 |
8 |
15 |
8 |
67 |
121 |
87 |
83 |
185 |
249 |
132 |
132 |
223 |
농가수(호) |
1,803 |
186 |
6 |
15 |
50 |
216 |
161 |
113 |
92 |
118 |
304 |
236 |
258 |
48 |
2022년 채소분야 시범사업
채소분야 시범사업- 사업명, 개소수, 시범요인
사업명 |
개소수 |
시범요인 |
시설원예 에너지 절감 및 환경개선 시범 |
1단체 |
에어로겔 이용 시설원예 고효율 보온커튼 시범 |
시설채소 재배환경개선 시범 |
2단체 |
방열순환팬, 쿨네트 등 설치 |
연작장해경감 토양환경개선 시범 |
1단체 |
연작장해 경감을 위한 토양개량제 보급 |
시설하우스 기능성필름 활용 시범 |
2개소 |
시설하우스 신소재 연질 강화필름 피복 |
과수품질 고급화
농업 기상환경과 도시민 소비성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과수작목을 발굴하고 우량 품종 재배면적 확대에 힘쓰고 있으며 과수 , 품질 고급화를 위한 과수 재배기 술을 적극 지원하고 우리 , 지역 주산물인 포도와 특산물인 체리의 생산기술 정착과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과수 재배현황
(대구, 2018. 12. 31.기준)
과수 재배현황- 구분, 계, 사과, 포도, 복숭아, 체리, 감, 자두, 살구, 기타
구분 |
계 |
사과 |
포토 |
복숭아 |
체리 |
감 |
자두 |
살구 |
기타 |
면 적(ha) |
774 |
125 |
218 |
173 |
15 |
71 |
50 |
26 |
96 |
농가수(호) |
2,279 |
212 |
704 |
394 |
28 |
261 |
238 |
100 |
342 |
2022년 과수분야 시범사업
과수분야 시범사업- 사업명, 개소수, 시범요인
사업명 |
개소수 |
시범요인 |
원격병해충 방제 생력화 체계 구축 시범 |
1단체 |
원격·고정형 무인방제시스템 일체(분사장치, 제어기 등) 설치 |
관수시설 활용 과수 동상해 방지기술 보급 시범 |
1단체 |
대용량 관수탱크 및 화목보일러ㆍ급열기ㆍ송풍덕트 등 설치 |
기후온난화 대응 아열대 소득과수재배 시범 |
1개소 |
감귤류, 바나나, 망고 등 열대 및 아열대 과수 시범재배 |
포도과원 광폭 비가림시설 활용 시범 |
1개소 |
포도재배 환경개선을 위한 광폭 비가림시설 설치 |
농작업 생력화기계 보급 시범 |
1단체 |
농작업 생력화장비(농약살포기, 당도계) 지원 |
특용작물 생산성 증대
다변하는 소비자의 식생활패턴으로 인한 다양한 농산물 수요에 부합하고자 우리지역 내 적 용 가능한 특용작물의 발굴을 진행 중이며 특용작물의 , 생산성 · 품질 향상을 위한 생산 기술 보급 및 우리지역 특용작물 재배환경 개선에 힘쓰고 있습니다.
2022년 특용작물분야 시범사업
특용작물분야 시범사업- 사업명, 개소수, 시범요인
사업명 |
개소수 |
시범요인 |
지역특화작목 연근 조류 퇴치 장비 활용 시범 |
1단체 |
유해조류 퇴치를 위한 장비 보급 |
신품종 버섯재배 시범 |
1개소 |
소비자 기호에 적합한 신품종 버섯재배 |